HTTP 에는 쿠키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 이름부터가 친숙하고 귀엽다.
왜 쿠키라는 이름이 붙여졌을까에는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있는데, 내가 처음 공부할 때 들었던 이야기는 헨젤과 그레텔 동화에서 쿠키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것이다. 동화에서 헨젤과 그레텔이 자신들이 지나온 길을 표시하기 위해 쿠키조각을 바닥에 떨어뜨린 것과 마찬가지로 서버에 요청한 사람이 누구인지 표시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남긴다해서 쿠키라 부른다는 것이다. ( ..그럴싸 하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쿠키 안에 운세 같은 메세지가 담겨있는 포춘쿠키와 유사하다고 해서 쿠키가 되었다라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사실은 유닉스 운영체제에서 두 프로그램 사이에 전송되는 작은 데이터 패킷을 매직 쿠키라 불렀는데 여기서 HTTP 쿠키가 유래되었다. HTTP 쿠키를 만든 루 몬텔루 라는 웹 브라우저 개발자가 사용자들의 방문 기록을 남기기 위해 매직 쿠키에서 개념을 차용해서 사용한 것이다.
(.. 출처는 구글질문 에서 찾았는데 루 몬텔루에게 직접 확인된 사실이라 한다. 물론 위키백과에도 나와있다. 위에 언급된 이야기들은 아마 매직쿠키의 유래가 아닌가 싶다. )
HTTP 쿠키( Cookie) 란
HTTP 쿠키는 웹 쿠키, 브라우저 쿠키로도 불리는데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을 의미한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유닉스의 매직쿠키에서 이름과 개념이 유래하였고, 루 몬텔루라는 웹 브라우저 개발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한 클라이언트를 확인하기 위해 만들었다. HTTP 통신은 stateless 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쿠키라는 개념이 따로 필요했기 때문이다.
쿠키는 주로 세션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로그인 등의 정보를 의미한다. ), 개인 설정유지, 사용자 트래킹( 사용자의 행동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것 ) 용도로 사용된다.
HTTP의 stateless 란
statsless 라는 것은 번역하자면 상태가 없다는 뜻이다. HTTP에서 stateless 하다는건 서버 입장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가 없다는 의미로 동일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라도 매번 각 요청은 독립적이라는 의미이다. 예를들어 놀이공원(서버)에서 손님이 입장(요청)했다가 퇴장(응답)했을 때 손님들을 한명 한명 다 기억할수가 없다. 그렇기 떄문에 놀이공원에서는 재입장하는 손님을 구분하기 위해 팔찌같은 입장권을 준다.
마찬가지로 서버에서도 이미 요청을 했었던 클라이언트인지 매번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입장권처럼 쿠키를 주는 것이다.
HTTP 쿠키의 특징
-
쿠키는 한개에 4KB 까지 저장 가능하며, 최대 300개 까지 저장할 수 있는 텍스트 파일이다.
-
쿠키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된다.
-
쿠키에는 이름, 값, 만료날짜, 경로 정보가 들어있다.
-
기본적으로 쿠키는 웹 브라우저가 종료되면 삭제된다. ( 만료날짜를 지정해 주면 만료일이 되야 삭제된다.)
-
웹 브라우저에 해당 서버의 쿠키 정보가 있으면 HTTP 요청 (HTTP 헤더의 Cookie)에 무조건 담아 보낸다.
HTTP 쿠키 작동방식
쿠키도 결국 HTTP 통신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HTTP 의 응답과 요청에 따라 작동한다.
요청을 받은 서버에서 쿠키를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로 보내고 클라이언트는 쿠키를 받으면 도메인 서버 이름으로 정렬된 쿠키 디렉토리에 쿠키(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서버로 HTTP 요청을 보내면 저장된 쿠키도 같이 전송되며, 만약 서버에서 쿠키에 업데이트된 내용이 있으면 응답할 때 다시 업데이트된 쿠키를 보내준다.
HTTP 세션(seesion) 이란
세션이란 통신을 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순간부터 통신을 마칠 때 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단순히 session 의 뜻을 찾아보아도 시간, 시즌 이라고 나온다.
HTTP 세션이란 클라이이언트가 웹서버에 연결된 순간부터 웹 브라우저를 닫아 서버와의 HTTP 통신을 끝낼 때 까지의 기간이다.
하지만 보통 세션이라고 말할 때에는 서버에 세션에 대한 정보(세션 상태, 클라이언트 상태, 세션 데이터 등)를 저장해 놓고 세션 쿠키( 고유한 세션 ID 값 )를 클라이언트에게 주어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자체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세션의 특징
-
따로 용량의 제한이 없다. ( 서버의 능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
서버에 세션 객체를 생성하며 각 클라이언트 마다 고유한 세션 ID 값을 부여한다.
-
쿠키를 사용하여 세션 ID 값을 클라이언트에 보낸다.
-
웹 브라우저가 종료되면 세션 쿠키는 삭제된다.
세션 작동방식
세션의 작동방식을 보면 우선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에서는 요청헤더( Cookie )를 확인하고 세션 ID가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요청에 세션 ID가 없다면 서버에서는 세션 ID를 생성한 뒤 응답을 보낼 때 쿠키에 세션 ID를 담아 보낸다. (서버에서는 이때 가장 먼저 세션 객체를 생성하여 정보를 저장한다.)
클라이언트는 응답에서 받은 세션 쿠키(세션 ID 값)를 저장해두고, 매번 해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마다 세션 쿠키를 함께 보내서 자신이 누구인지 인증한다. 세션 쿠키는 브라우저가 종료되면 삭제된다.
쿠키와 세션의 관계
흔히 쿠키와 세션을 비교할 때 쿠키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고, 세션은 서버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라고 비교한다. 맞는 말이지만 마치 서로 반대되는 개념처럼 오해할 수 있는데, 결국 세션은 쿠키를 이용하는 하나의 방식일 뿐이다. ( 쿠키와 세션은 방식의 차이일 뿐 반대 개념이 아니다. )
쿠키는 stateless 한 HTTP 통신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정보(표시)를 주어 해당 클라이언트를 식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클라이언트가 식별이 가능해야 서버는 특정 클라이언트와 계속해서 통신을 하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클라이언트에 저장된다는 쿠키의 특징은 보안에 있어서는 치명적인 단점이다.
예를들어 로그인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쿠키에 담아 클라이언트에 저장한 뒤 서버에서는 쿠키로 해당 사용자가 로그인한 사용자인지 확인한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누군가 마음만 먹으면 쿠키를 확인해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볼 수 있다.
그래서 세션이라는 개념을 통해 중요한 정보는 서버에서 관리하고 클라이언트에게는 세션 쿠키( 세션 ID )를 주어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사전적 정의로 보면 세션( 통신을 시작하고 마칠 때 까지의 기간)을 유지하기 위해 쿠키를 사용하는 것인데, 용어 상으로는 세션이란 서버에 정보를 저장하고 세션 쿠키를 통해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방식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보면 되겠다.
쿠키와 세션 정리
쿠키와 세션도 결국 목적( 클라이언트에서 관리하느냐, 서버에서 관리하느냐 )에 맞게 사용하면 되겠다.
(.. 클라이언트는 믿을 수 없다. 중요한 정보나 처리는 서버에서 다뤄야한다! 만 명심하자.)
예를들어 쿠키는 쇼핑몰의 장바구니, 개인 설정(팝업창 표시여부 등) 같은 것들에 많이 사용되고 세션은 로그인 유지 등에 많이 사용된다.
'IT 정보 로그캣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 표현식 (0) | 2020.02.03 |
---|---|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초 지식 정리 (0) | 2019.09.03 |
[네트워크] get 과 post 의 차이 (2) | 2019.06.03 |
[네트워크] http 란 (0) | 2019.06.01 |
[알고리즘] 재귀함수 (0) | 2019.04.13 |